암호문 공격 분류
암호문에 대한 공격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.
|
|
암호문단독공격 (COA) Ciphertext only Attack |
- 공격자가 암호키를 사용하여 같은 알고리즘으로 암호화된 암호문 집합보유한 경우 이용합니다. - 평문을 찾거나, 암호키를 찾거나, - 암호화할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. |
기지평문공격 (KPA) Known plain text Attack |
- 암호문 뿐만 아니라 대응되는 평문을 보유한 경우 사용합니다. - 암호문/평문쌍을 선택할 수는 없다는 것이 선택평문공격과의 차이점 입니다. - 암호키를 찾거나 암혹문을 복호화할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점은 동일합니다. |
선택평문공격 (CPA) Chosen Plaintext Attack |
- 공격자가 평문과 암호문쌍의 유한집합을 의미합니다. - 차이점은 공격자는 자신이 원하는 평문과 암호문쌍을 가질수 있으므로, 기지평문공격과 차이점이 있습니다. - 다만, 공격이 시작된 이후에는 새로운 쌍을 얻을 수 없습니다. - 하지만, 적응적 선택평문공격(Adaptive CPA)에서는 공격을하면서 평문과 암호문 쌍 얻을 수 있습니다. |
선택암호문 공격 (CCA) Chosen Cipher text Attack |
- 암호문에 대응하는 평문을 얻을 수 있습니다. - 주로 공개키 알고리즘을 분석할 때 사용하며 가장 강력한 공격방법에 해당합니다. |
'IT, 저작권 이야기 > [TS] 정보보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개인정보의 자기결정권 헌법재판소 판례와 OECD 가이드라인 신입사원채용시 입사지원서 동의 (0) | 2016.11.03 |
---|---|
퇴직급여, 연말정산, 카드회사 관련 개인정보 (0) | 2016.11.03 |
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회사는 별도의 동의가 불필요합니다. (0) | 2016.11.03 |
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명예훼손 관련 CCTV영상정보를 제3자(입주자대표)ㅇ에게 제공한 아파트관리사무소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했다 (0) | 2016.10.30 |
운영모드 정리 (0) | 2016.10.26 |